카테고리 없음

피뢰기에 대하여

예비엄마 2023. 4. 22. 18:50

피뢰기는 번개와 회로의 개폐로 인한 충격성 과전압 즉, 서지를 대지에 방전시켜 전기시설의 절연을 보호하기위한 장치이다. 이는 특성요소와 직렬갭으로 구성이 된다.

피뢰기를 처음 공부할때 갭 타입 피뢰기, 갭레스 피뢰기으로 구분되는데 책마다 설명이 그지같이 되어있고 시험에 나오는 피뢰기 특징만 달달 외워서 시험보고 후에는 다 까먹는 참사를 겪은 경험이 있다.

이 두가지 타입을 구분하기 위해서 직렬갭과 특성요소를 정확히 짚고 넘어가도록 하자

속류는 정상전류가 피뢰기를 통해서 대지로 빠져나가는 전류이다 속류가 0에 수렴할 수록 좋은 피뢰기라고 할 수 있겠지.

 

직렬갭에 대하여 이해가 쉽게 표현하면,

(1)직렬갭은 특성요소와 직렬로 연결되어 평상시 피뢰기 회로가 개방되어 있고 과전압 인가시 불꽃 방전에 의해 회로가 close 되어 그 후 특성요소를 제한하여 속류차단 작용을 하는 피뢰기의 구성 부분

그렇다면 피뢰기에서 말하는 갭이 무엇일까? 평상시에는 말 그대로 갭 - 사이에 공간이 있어 접지되어있는 아랫부분과 전기적으로 개방된 공간

그렇다면 직렬갭을 표현하면 평상시 전기적으로 개방되어 있으나 뇌전압과 같이 고전압이 유입되면 불꽃 방전에 의해 회로가 close 되며 대지와 연결시켜 고전압이 빠져나갈수 있도록 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특성요소는 전류특성에 따라 방전할 때에는 대전류로 방전 시키고 단자간 전압을 제한하여 방전 후에는 속류를 직렬갭으로 차단 할 수 있을 정도로 제한하는 피뢰기의 구성부분

즉, 직렬갭 따까리 정도로 인식하면 된다. 직렬갭 님이 편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단자 전압도 제한하여 주고 속류도 낮춰줘서 동작 잘하게 도와주는 역할이다. 

그렇다면 (1)의 문장에서 특성요소를 제한한다는 말은 뭔 개같은 표현일까? 좋은걸 제한시킨다? 문장이 해석하기가 난해해진다. 내가 생각하기에는 시간과 관련이 있는 것 같다. 직렬갭에 도움을 주는 특성요소를 빠르게 그 역할을 제한하므로써 속류의 차단 빠르게 한다 라고..

설명을 좆같이 써놔서 이해하고 외우기가 힘들다. 좀 쉽게 단순하게 표현할 수 없는것인가? 내가 피뢰기 만드는 회사를 운영한다면 적어도 설명을 이렇게 하지 않을 것이다.

 

갭타입 피뢰기:적당한 방전갭을 설치하여 일정 전압이상의 전압이 걸리게 되면 방전갭에서 아크가 발생하여 피뢰기 역할을 한다. 이때 지속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직렬 저항을 사용

 

갭레스 피뢰기: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소자를 사용하며 특성이 양호하여 많이 사용.갭타입의 단점인 소호를 안전하게 하지만 누설전류로 전력손실이 다소 있음 산화아연 소자는 일정 전압 이상까지는 저항체로 동작하나 그 전압 이상시 도체로 작용하여 피뢰기 역할 수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