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변전설비계통에 대하여
빌딩이나 아파트, 상업시설 등과 같이 모든 건축물들은 전기를 필수적으로 사용합니다. 큰 건축물부터 작은 건축물까지 전기시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수전설비용량에 따른 수전용량을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1000kVA 이상의 건축물과 1000kVA 미만의 건축물, 콘크리트 전주에 매달려 있는 한전 변압기를 이용한 수전까지 여러 종류의 전기시설물을 통해 전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1000kVA 이상의 정식 수변전설비 건축물의 계통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지중 및 전주를 통해 22, 9kV의 케이블을 통해 보편적으로 건물 지하에 있는 전기실에 케이블이 도달하게 됩니다. 해당 케이블의 케이블헤드가 LBS(부하개폐기) 1차 측과 연결됩니다. LBS의 중간에 있는 나이프를 거쳐 2차 측으로 진행하며 해당 부하개폐기는 무부하 시의 부하는 개폐하기 위해 설치된 시설물입니다. 2차 측에는 LA 3개가 연결되어 있으며 해당 LA 2차 측은 접지되어 있습니다.
다음 큐비클은 MOF 설비이며 LBS 2차에서 온 시설은 MOF 용 PF에 연결되게 됩니다. 해당 파워 퓨즈는 MOF 보호용이며 PF 2차 측에서 MOF 1차 측으로 연결됩니다. MOF는 한전 전력 수급용 계기용변성기이므로 단순 한전에서 전기를 얼마나 사용하는지 전력 요금을 산정하기 위한 도구이므로 한전 재산입니다. MOF 2차는 감압하여 한전 계측장비에 인입됩니다.
다음 큐비클은 PT와 PF가 있습니다. 해당 PT는 그다음 큐비클에 있는 CT와 함께 건물 소유의 계기용 변압 변류기입니다.
이는 VCB 반 문 앞에 달려있는 계전기에 들어가는 전압과 전류로 변성하기 위한 시설물입니다. PT 또한 앞쪽에 PF가 시설되어 있으며 PT 보호용입니다. 그다음 큐비클은 앞서 말했던 VCB 큐비클이며 보편적으로 CT가 함께 있습니다. VCB는 진공 차단기로 용도는 계전기의 신호를 받아 동작하며 개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그다음 큐비클은 변압기이며 보편적으로 380V로 변압시키며 저압부에 전압을 공급하게 됩니다.
변압기 다음 큐비클은 ACB이며 저압부 MCCB와 변압기를 연결 및 차단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저압부는 일반 전등 및 전열용 MCCB 반 동력용 MCCB 반 비상용 ATS 및 MCCB 반 등이 있으며 저압부 마지막 큐비클은 정류 기반입니다. 정류 기반에서는 13.2V 축전지 9개를 직렬연결하여 13.2*9 = 118.8Vac 전압을 유지하여 전기실 큐비클 조작부에 전압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내용연수를 지켜 비상상황 시 조작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주목적입니다. 발전 기반은 한전 정전 시 비상 동력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최근 고압부 큐비클에 있는 UVR 신호를 저압부 큐비클에 옮겨 한전 정전이 아닌 내부 정전 시에도 발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일부 한전 측에서 권고하고 있는 사항입니다.